Tech Culture

확률 조작으로 ‘과징금 철퇴’ 맞은 메이플스토리, 확률형 아이템 무작정 삭제?

확률 조작으로 ‘과징금 철퇴’ 맞은 메이플스토리, 확률형 아이템 무작정 삭제?

‘환생의 불꽃’ 사태에 이어 ‘큐브’까지, 메이플스토리의 확률 조작 역대급 과징금 부과 이후 자구책 마련, 문제 아이템 삭제한다 자율규제는 실패했나, 정부 ‘게임산업법 개정안’ 결국 3월 시행 넥슨이 자사 MMORPG(대규모 다중 사용자 온라인 롤플레잉) 게임 ‘메이플스토리’의 확률 조작 논란 대응에 나섰다. 메이플스토리 운영진은 전날 저녁 온라인 방송을 진행, “게임의 근본적인 구조를 바꾸는 것만이 이용자들께 저희를 다시 한번…

“줄여야 산다” 궁지 몰린 케이블TV, FOD 사업 포기한다

“줄여야 산다” 궁지 몰린 케이블TV, FOD 사업 포기한다

“찾는 사람도 없는데 가격만 오르네” 케이블TV, FOD 구매 중단 OTT의 편의성·신속성에 밀렸다, FOD 사실상 시장 경쟁력 잃어 쪼그라든 유료방송 수요, 생존 위해 불필요한 사업 과감히 쳐내야 침체기에 접어든 케이블TV 업계가 지상파 FOD(Free Video on Demand) 구매를 중단한다. FOD는 유료방송 플랫폼 사업자가 이용자에게 무료로 제공하는 주문형 비디오(VOD)다.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열풍 이후 시청자의 FOD 수요가 급감한 가운데, 급격한…

‘게임 수익화’ 카드 꺼내든 넷플릭스, 오판일까 신의 한 수일까

‘게임 수익화’ 카드 꺼내든 넷플릭스, 오판일까 신의 한 수일까

게임 서비스 ‘수익 창출’ 노리는 넷플릭스, 투자금 회수 노리나 IP 확장·체류 시간 늘리기 수단에서 본격적인 ‘상품’으로 실제 게임 이용자는 1%에 그쳐, 섣부른 유료화 ‘독배’ 위험 넷플릭스가 게임 서비스에 추가 요금, 광고·과금 요소를 투입할 가능성이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 5일 해당 논의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넷플릭스 경영진이 최근 수개월간 게임 서비스에서의 수익 창출 방안을 논의해…

근로자 90% “올해 이직 또는 퇴사 계획 있다”, 경력직 채용 경쟁 심화하나

근로자 90% “올해 이직 또는 퇴사 계획 있다”, 경력직 채용 경쟁 심화하나

직장인 64.1% ‘올해 이직 계획’, 20%는 ‘무조건 퇴사’ 이직하기 적절한 근속 연수론 ‘3년~5년 이내’ 가장 선호 반면 美 이직률은 33개월 만에 최저 수준, 국내와 온도차 ‘뚜렷’ 직장인 10명 중 9명은 올해 이직이나 퇴사 계획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직하기에 좋은 시기로는 3년~5년차를 가장 선호했으며, 이직을 원하는 직장으로는 대기업을 희망하는 직장인이 가장 많았다. 이직을 선호하는 경향이 두드러짐에…

팬데믹 수혜 끝났어도 여전히 건재한 K-만화, 세컨더리 IP 사업 기대↑

팬데믹 수혜 끝났어도 여전히 건재한 K-만화, 세컨더리 IP 사업 기대↑

2023년 상반기 콘텐츠산업 동향분석 전체 매출액 전년 대비 2.5% 증가 콘텐츠 간 경쟁 심화, 산업 정체기 불러올까 국내 콘텐츠 산업이 코로나19 팬데믹 영향권을 거의 벗어난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해 상반기 매출액과 수출액이 모두 전년 동기 대비 증가세를 나타내면서다. 웹툰을 비롯한 만화산업이 큰 폭의 수출 증가세를 기록하며 K-콘텐츠의 해외 진출 선두에 섰다. 매출액 성장은 출판이 견인, 만화는…

‘스트림플레이션’에 구독 해지율↑, 새로운 전략 짜는 OTT 업계

‘스트림플레이션’에 구독 해지율↑, 새로운 전략 짜는 OTT 업계

미국 구독자 중 25%, 지난 2년간 ‘최소 3개’ 서비스 구독 해지 ‘인상된 구독료’에 따른 비용 부담으로 해지 고객 늘어 토종 OTT도 사정 다르지 않아, ‘할인 정책’으로 기존 고객 붙잡기도 최근 ‘스트림플레이션(스트리밍+인플레이션)’ 현상이 심화함에 따라 구독을 해지하는 미국인들이 늘고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OTT 플랫폼들은 광고가 포함된 저렴한 요금제를 출시하거나 경쟁사와 협력해 번들 상품을 내놓는 등…

경기 침체에 말라가는 구직시장, “경력 이직도 어려울 것”

경기 침체에 말라가는 구직시장, “경력 이직도 어려울 것”

신입 채용 감소에 구직자들 ‘난감’, “일자리 어디서 구하나” 사회적 ‘비관론’ 확산, ‘쉬었음’ 인구 중 20대 32만 명 달해 대기업도 피하지 못한 침체기, 안정성 지표도 ‘악화 인사 담당자들이 올해 HR(인사·노무) 분야에서 떠오를 가장 큰 이슈로 ‘신입 직원 채용 감소’ 및 ‘이직 자제(리텐션)’를 꼽았다. 결국 경기 침체에 따른 수익성 악화가 구직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확대될 것이란 분석이다….

배달음식에서 등 돌리는 소비자들, 배달 앱 ‘황금기’는 끝났다?

배달음식에서 등 돌리는 소비자들, 배달 앱 ‘황금기’는 끝났다?

지난달 배달앱 3사의 결제 추정금액이 3년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확인됐다. 고물가 상황 속 외식 자체에 부담을 느끼는 소비자가 급증한 가운데, 배달비 부담마저 가중되며 서비스 수요가 대거 이탈하면서다. 코로나19 팬데믹을 기점으로 ‘전성기’를 맞이했던 배달 중개 플랫폼들은 본격적인 위기 국면에 접어들었다.

넷플릭스 시청 시간 15%는 한국 드라마 덕분, ‘국내 콘텐츠사-글로벌 OTT’ 견제와 상생의 딜레마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넷플릭스의 전 세계 콘텐츠 유통망을 우리 미디어 업계가 최대한 활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시장의 파이가 작은 한국에서는 콘텐츠의 경쟁력을 담보하기 어렵지만, 그렇다고 직접 해외 진출을 모색하기에는 불확실성과 리스크가 크기 때문이다.

MCU 사상 최악 성적표 받아든 ‘더 마블스’, 디즈니식 ‘PC주의’의 말로인가

마블의 최신작 <더 마블스>가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MCU) 사상 최악의 성적을 거둘 것으로 보인다. MCU 사상 최저 오프닝 수입을 기록하며 굴욕을 맛본 것이다. 디즈니 특유의 PC주의(정치적 올바름, Political Correctness)에 지친 팬들의 혹평이 이어지는 가운데, 일각에서는 디즈니의 콘텐츠 제작 방향 전환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콘텐츠 흥행이 부진하면 사실상 ‘수익성 위기’에서 벗어나기는 어렵다는 분석이다.

마약에 사로잡힌 K콘텐츠 시장, 콘텐츠도 배우도 ‘마약 중독’

K콘텐츠 시장에 마약 열풍이 불어닥쳤다. 최근 다수의 국내 콘텐츠는 자극적인 장면을 연출하고, ‘사이다(속이 시원한 이야기, 복수극) 전개’를 이끌어내기 위해 마약 소재를 무분별하게 활용하고 있다. 이에 더해 주연 자리를 독차지하던 일부 유명 배우들은 마약 투약 혐의로 쇠고랑을 찼고, 주연 배우를 잃은 작품들은 공개가 연기된 채 시장을 떠돌고 있다. 그야말로 ‘마약의 시대’다.

알맹이 없는 ‘오징어 게임’ 만든 넷플릭스, 슈퍼IP 활용 실패

넷플릭스의 새로운 리얼리티 프로그램 <오징어 게임: 더 챌린지>(이하 더 챌린지)가 가차 없는 혹평을 받고 있다. 영화정보 사이트 IMDB의 시청자 평점은 10점 만점에 4.6점(27일 기준)까지 미끄러졌다. 원작의 메시지와 특유의 ‘스릴’을 살리지 못했다는 평가다. 출연진은 촬영 과정에서 부상을 입거나 비인격적인 대우를 받았다며 불만을 제기하고 나섰다.

자체 IP 활용에 힘 쏟는 디즈니, 콜라보·이벤트로 마케팅 강화

월트디즈니의 ‘IP(지식재산권) 수익화’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디즈니는 이탈리아 스쿠터 브랜드 베스파와 협업해 베스파 디즈니 ‘미키 마우스’ 에디션을 12월 국내 출시하는 한편, 테마파크 사업 홍보를 위해 현대백화점과 경품 이벤트를 진행한다. 자체 IP 활용 및 수익화를 위한 ‘마케팅’에 꾸준히 힘을 싣는 양상이다.

‘무적 쿠팡’ 등에 업고 질주하는 쿠팡플레이, 넷플릭스는 ‘예능·스포츠’로 맞불

넷플릭스와 쿠팡플레이 사이에서 ‘경쟁 기류’가 감지되고 있다. 쿠팡플레이가 드라마에 비해 인기가 저조한 예능을 통해 이용자를 대거 끌어모으자, 과거 여러 차례 쓴맛을 본 넷플릭스도 국내 ‘OTT 예능’ 시장에 재도전장을 내민 것이다. 쿠팡플레이의 주요 콘텐츠인 스포츠 분야에도 점차 넷플릭스의 그림자가 드리우기 시작했다.

빨간불 켜진 멀티플렉스 업계, ‘홀드백’으로 OTT 무찌르겠다?

코로나19 팬데믹 및 OTT 열풍의 영향으로 멀티플렉스 업계가 크게 위축된 가운데, 문화체육관광부가 홀드백(hold back) 준수를 지원해 영화관 관람 수요 회복을 뒷받침하는 ‘영상산업 도약 전략’을 발표했다. 최신 영화의 OTT 유통을 지연, 위축된 영화관 관람 수요를 회복하겠다는 구상이다.

‘적자의 늪’ 빠진 토종 OTT, 수익성 확보 위해 발버둥

‘적자의 늪’에 빠진 토종 OTT가 수익성 개선을 위해 움직이고 있다. 티빙은 오리지널 콘텐츠 확충과 광고 요금제로, 왓챠는 ‘건별 결제’ 시스템으로 승부수를 띄웠다. OTT 시장 전반이 ‘성장 정체기’에 돌입하며 점차 침체하는 가운데, 서비스 유지 및 수익 창출을 위해 각 업체가 총력을 기울이는 양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