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 진출하는 K-스마트팜 기술, 한·카타르 협력 MOU 개정으로 속도 높인다

2019년 체결한 협력 MOU, 4년 만에 본격 논의 돌입
'수입 90%' 식량 자급률 제고에 총력 기울이는 카타르
국내 성장 한계 직면한 스마트팜 기업 해외 진출 이어질까
카타르를 방문한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10월 24일(현지 시각) 알-수베이 카타르 자치행정부 장관과 만나 스마트팜 협력 확대를 논의하고 있다/사진=농림축산식품부

코로나19 등으로 더딘 진척을 보이던 한국과 카타르의 스마트팜 협력 양해각서(MOU)가 4년 만에 개정된다. 양국 정부의 협의가 급물살을 타며 스마트팜 관련 국내 기업들의 해외 진출에도 청신호가 들어왔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5일(현지 시각) 카타르 도하에서 열린 한국과 카타르 간 정상회담에서 카타르 자치행정부와 스마트팜 협력 MOU를 개정했다고 밝혔다. 2019년 카타르 국왕의 방한을 계기로 체결된 해당 MOU는 코로나19 팬데믹이 예상보다 길게 이어지며 4년 넘게 구체적 협력을 진전시키지 못하고 방치 중이었다. 양국은 실무 협력 강화 등을 위해 MOU를 더욱 구체화하는 개정 필요성에 의견을 모았고, 이번 정상회담을 계기로 협력 분야를 세분하는 등의 방식으로 MOU를 개정하기로 했다.

‘기술 수출-식량 안보’ 상생 나선다

개정 MOU에는 기존 △연구·개발 중심 협력 사항을 비롯해 △스마트농업 기술단지 조성 및 재배 실증 등 협력 사업 추진 △스마트농업 분야 전문 인력 양성 교육 및 교류 등 실질적 협력을 위한 구체적 사항들이 다수 포함됐다. 양국은 개정된 MOU 내용을 이행할 국장급 실무 공동위원회를 설립하기로 합의했으며, 위원회 설립을 기점으로 협력에 속도를 높일 방침이다.

식량 소비의 90%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는 카타르는 사막의 건조한 기후를 극복하고 식량 자급률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스마트농업에 주목하고 있다. 수경재배 온실 클러스터 구축을 통해 채소 자급률 70% 달성 과제를 국가식량안보전략에 포함한 사례가 대표적 예다.

정황근 농식품부 장관은 “이번 카타르와의 스마트팜 협력 MOU 개정함으로써 양국 간 더욱 긴밀한 교류가 가능해졌다”며 “연내에 실무 공동위원회를 개최해 한국과 카타르의 스마트농업 협력을 속도감 있게 진행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전북 김제에 위치한 스마트팜혁신밸리 내부의 모습/사진=농림축산식품부

국내 현실 반영 못 한 스마트팜에 농가 ‘외면’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해 지능화된 농장을 의미하는 스마트팜은 농작물 재배 시설의 온도, 습도 등을 세밀하게 조절하고 원격 관리가 가능하다는 특징을 앞세워 2010년대 초반부터 주목받기 시작했다. 하지만 도입 10년이 지난 최근에는 그 한계점이 명확히 드러나며 대규모 시설들이 방치되는 경우가 속출하고 있다.

농업 관계자들은 스마트팜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과도한 유지관리 비용, 국내 농업 특성 미반영 등을 꼽았다. 비용에 있어서는 온실 내부 에너지 공급을 위해 투입되는 에너지의 비용이 작물생산 원가의 40%에 육박할 정도로 많다는 설명이다. 스마트온실은 사계절이 뚜렷한 한국에서 겨울철 신선한 채소를 생산하기 위한 도입됐지만, 생산에 투입되는 비용이 증가한다면 농작물 가격 또한 오를 수밖에 없어 이들 농작물을 시장이 모두 소화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농업 구조에 대해서는 한국의 농가들이 대부분 집약적인 소농 형태를 띠고 있어 농가당 경지면적이 협소해 고도화된 시설을 접목하기 어렵다는 점을 지적했다. 실제로 통계청의 ‘2020년 농림어업총조사’에 따르면 국내 농가당 경지면적은 1.08ha(헥타르)로 집계됐다. 이는 2015년 1.2ha보다 10% 줄어든 수치로, 농가의 총 경지면적이 (131만ha→111만6,000ha) 감소한 데다 고령가구 증가로 0.5ha 미만 농가 비중이 51.9%를 차지하기 때문이다. 스마트농업이 가장 활성화된 미국의 농가당 경지면적이 170ha라는 점을 고려하면 한국에서 스마트팜이 활성화되지 못하는 이유가 명확해진다.

토지·기후 다른 카타르에선 활용 가능성↑

전문가들은 이번 카타르와의 협력을 통해 국내에서 발전 가능성이 낮은 스마트팜 관련 기술을 수출로 돌려 상생을 도모할 수 있다고 입을 모았다. 풍부한 햇빛과 비, 토지를 대신해 온실과 전기 등 각종 설비로 채운 스마트팜은 여름철 고온 다습한 기후로 양질의 농작물을 생산할 수 있는 한반도에서는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지만, 강우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고 흙이 아닌 모래로 뒤덮인 사막 지역에서는 활용 가능성이 무궁무진하기 때문이다.

업계에서도 이번 MOU 개정과 정부 간 협력 강화가 해외 진출을 희망하는 한국 스마트팜 기업들의 수출 확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내다봤다. 실제로 25일 카타르에서 열린 ‘한-카타르 무역상담회’에서는 다양한 신산업 관련 상담 중에서도 플랜트 관리 IT 기술을 보유한 포미트, 첨단 수직 농장을 선보인 농업회사법인 플랜티팜, 작물 재배 데이터 통합 분석 프로그램 개발 스타트업 아이오크롭스 등 스마트팜 관련 기업에 현지 업체들의 이목이 쏠리며 이같은 전망에 힘을 실었다.

이와 관련해 한훈 농식품부 차관은 “카타르는 온실 시장 규모가 2027년 약 4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스마트농업 수출이 유망한 국가 중 하나”라며, “앞으로 스마트농업과 관련한 양국 간 협력 과제를 지속해서 진전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Similar Posts